본문 바로가기

TIL

20_Step : CloudFront & 도메인(https) 만들기

CloudFront는 CDN과 비슷한 기능을 하는데 aws에서 만들어 놓은 지역 저장소를 이용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웹사이트 운영이 가능하게 한다.

aws에서 CloudFront를 찾아 생성하기를 누르고, 이때 많은 설정을 할 수 있는데 만들고 나서도 수정이 가능하니 origin domain과 default root값을 적어주고 생성을 한다.

만들어진 주소를 인터넷 주소창에 입력하면 default root로 지정해놨던 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메인 연결은 가비아에 만들어 놓은 값 위치를 CloudFront의 주소로 바꿔준다.

그리고 CloudFront 세팅에 들어가서 alternate domain name에 가비아에서 받은 주소를 적어준다.

그럼 오류가 발생할텐데 이는 바꾸려는 도메인에 대한 인증서를 발급받지 않아서 그렇다.

인증서 요청을 클릭하여 가비아에서 받은 주소를 입력하여 인증서를 받는다.

인증서를 받아 맞게 입력한 후 세팅을 저장한다.

인증서를 받으면 cname name,value가 생기는데 이를 가비아의 호스트와 값/위치에 각각 넣어주면 된다.

cname name에서는 가비아에서 받은 주소앞까지만 호스트에 넣는다.

 

waf까지 설정해줘서 웹을 보호해줬다.

이름을 적고 type을 cloudfront로 바꿔준 뒤 리소스 add를 누르면 cloudfront에 설정해 놓은 주소가 있을 건데 체크하고 add를 누른다.

다음을 눌러서 allow 체크해주고 enable~~~를 체크하고 만든다.

ip sets을 해서 특정 ip는 못들어가게 설정할 수도 있고, spl injection을 설정해서 방지할 수도 있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_Step : api gateway & RDS  (0) 2021.11.02
21_Step : route53연결 & 서버리스  (0) 2021.10.27
19_Step : 이진탐색 & 재귀함수  (0) 2021.10.22
18_Step : Array와 LinkedList  (0) 2021.10.21
17_Step : 알고리즘 문제풀이  (0) 2021.10.20